나의 ‘보험 나이’를 알고 있나요? 광산저널 webmaster@gsjn.co.kr |
2022년 12월 28일(수) 09:43 |
이처럼 보험업계에서는 ‘보험 나이’를 사용한다. 보험 나이는 계약일 현재를 기준으로 하여 피보험자의 실제, 만 나이를 기준으로 올해 생일과 내년 생일의 정확히 가운데 날을 상령 일로 정한다. 상령 일 이후 나이가 올라가는 것이다.
예로 들어 A씨의 생일이 1990년 5월 30일인 경우, 상령 일은 올해 생일과 내년 생일의 중간인 11월 30일이다. 11월 30일 이후 한 살이 추가된다. 보험 나이에 따라 보험료는 달라진다. 일반적으로 보험 나이가 한 살 늘어날수록 보험료는 평균 5~10% 정도 높아진다. 당장 몇천 원이 큰 차이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, 총 납부 기간을 생각하면 많은 차이가 발생하므로 보험 나이를 알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.
보험 나이가 생긴 이유는 계약일과 생일이 달라서 합리적인 보험료의 산정을 위해서다. 계약일은 1년 중 언제나 가능하기에 계약일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계산하면 계산이 매우 복잡해지며, 만 나이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계산하면 보험사나 계약자 중 손해 보는 쪽이 발생한다. 이에 양측의 절충 방법인 ‘보험 나이’가 생긴 배경이라고 한다.
다만 자동차보험처럼 법적인 만 나이를 사용하는 보험상품도 있다. 이처럼 보험 종목과 약관에 따라 어떤 나이 기준을 적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.
나의 보험 나이를 언제인지 체크 해 두었다가, 필요한 보험은 상령 일이 지나가기 전에 가입하는 것도 보험료를 줄이는 방법이다.
광산저널 webmaster@gsjn.co.kr